기존의 중국어 뉴스 관련 독해 교재는 고급 수준 학습자들 위주로 너무 난이도가 높아서 공부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입니다.
반면, 새로 출간된 <현지 뉴스로 독해 실력 키우는 뉴스와 중국어>는 HSK 3~4급의 초중급 학습자도 충분히 읽을 수 있는 난이도로, 비교적 쉬운 중국어 독해 교재입니다.
이 책의 특징 중 하나는 한류, 여행, 건강, 기후 등 중국이나 한국에서 관심도가 높고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 위주로, 최신 기사만을 선별하여 흥미롭게 뉴스를 읽다 보면 어느새 독해 실력이 늘어나게 된다는 점입니다.
또한 단순히 뉴스만 읽고 넘어가는 수준이 아니라, 각종 시사 뉴스에 자주 거론되는 활용도 높은 상용구문과 관련 어휘 등을 통해 심화학습까지도 가능합니다.
- 기존 고급자들만이 가능했던 뉴스 독해를 HSK 3~4급 수준의 학습자도 충분히 학습 가능하도록 비교적 쉽게 읽히는 기사로만 선별하였습니다. 따라서 초중급 수준의 학습자도 조금만 노력하면 직접 뉴스를 읽을 수 있어 고급으로 실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최근 중국 또는 한국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 위주로 기사를 선별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한류•건강•기후•여행•교통•경제•체육•외교•교육•청년•인구•여성 등으로 주제를 선정하여 어렵고 힘들게만 느껴지던 뉴스 독해가 재미있고 또 읽을수록 흥미가 느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단순하게 뉴스만 읽고 지나가는 것에서 상용 구문, 관련 어휘를 집어주어 좀 더 심화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상용 구문 및 관련 어휘는 다른 시사 뉴스를 접할 때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것들 위주로 뽑아 놓은 것으로 활용도가 높습니다.
- 단순히 읽고 번역하는 학습에서 듣고 이해하는 학습까지 가능하도록 기사 및 단어까지 전문가가 녹음한 MP3 파일을 제공합니다. 읽고 번역하고 상용 구문 및 관련 어휘까지 학습했다면, 실제 뉴스처럼 전문 성우의 녹음을 듣고 다시 한번 학습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목차
머리말 │ 차례 │ 이 책의 특징 │ 강의계획표
01 건강
- 암에 걸릴 확률을 어떻게 낮출 것인가? 운동?금주?금연?건강한 식사
- 실력 보태기: 건강한 식사는 4가지 원칙을 지켜야
02 여성
- 왕쿠이 지역 부녀자 1,500여 명, 가사관리 양성과정 통해 취업 실현
- 실력 보태기: 타이완, 여성 취업이 중시되면서 노동 참여율도 점차 상승
03 인구
- 중국 ‘두 자녀 정책’ 전면 완화, ‘70허우’가 최대 수혜자
- 실력 보태기: 두 자녀 정책 완화에 천 억 시장 확대
04 외교
- 제10차 한중일 외교 고위급 회의 한국에서 개최
- 실력 보태기: 왕양, 한국 방문해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과 회견
05 경제
- 중국 경제 발전 속도 침체 지속
- 실력 보태기: 한국 동해안권 경제자유구역 투자환경 설명회 개최
06 체육
- 체육 과목의 질 높여 학생의 체력 증강
- 실력 보태기: 부패척결로 중국의 금메달 강박 벗어나면 대중체육 이익 커져
07 한류
- 작년엔 <아빠 어디가> 열풍, 올해는 <꽃보다 할배> 인기 기대
- 실력 보태기: ‘한류’ 열광, 언제 멈출까?
08 여행
- 교양 있는 여행도 교육과 제도의 병행 필요해
- 실력 보태기: 한국인 해외 여행자 평균 지출은 1만 위안에 달하고, 파리와 미국을 가장 선호
09 기후
- 국무원 심각한 스모그 발생 시 정부가 생산중단과 운행제한할 수 있는 법규 제정 예정
- 실력 보태기: 중추절 날씨 쾌청, 아침저녁은 여전히 선선
10 교통
- 설날 인구 대이동 오늘 정식 시작, 11일-17일 사이 승객 유동 최고 절정
- 실력 보태기: 베이징시 지하철에 여성전용칸 설치 고려
11 교육
- 교육 평등 보장 위해 정부 지원 확대해야
- 실력 보태기: 교육 평등 보장 위해 정부 지원 확대해야
12 청년
- 90허우 새로운 선택 ‘반취업상태’, 오전 9시 출근, 오후 5시 퇴근할 필요 없어
- 실력 보태기: ‘반취업상태’ 뒤의 숨겨진 그늘
해석 및 정답
이 책의 저자
김정희
- 한양여자대학교 통상중국어과 교수
-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
-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석사
- 중국 푸단대학 중문과에서 박사후 과정 이수
조동매
-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
- 중국 북경대학 중문과 석사
유선영
- 여주대학 관광중국어과 교수
-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
- 중국 남경사범대학 중문과 석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