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新 한국어 교육 정책론
교재 본책
이 책은 지나온 한국어 교육의 역사를
되짚어보고 현시점 한국어 교육의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미래 전망을 시도해 보고 한국어 교육 관련 법, 제도, 정책을 논하여 한국어 교육의 방향성 설정에 보탬이 되도록 하는 한편 정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 수립에도 도움이
되고자 집필하였다.
이 책은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한국어 교육 정책론과 관련한 기본적인 논의로서 한국어 교육 정책의 관점에서 한국어 교육 발전을 일별하고 한국어 교육 정책의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제2장은
한국어 교육 정책 논의를 위한 배경 논의로서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현장을 살펴보고 현시점 한국어의 국제적 위상을 살펴보고 있다.
제3장과
제4장은 한국 정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을 논하는 장으로서 정책 환경,
정책의 역사적 전개, 법, 제도, 정책 사례 등을 다루고 있다. 특히 한국어 교육 정책이 외적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 만큼 정책 환경과 정책 결정, 정책 산물 사이의 관계를 우선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정책의 역사적 흐름과 주요 내용을 정리한 후 법, 제도, 정책을 논하고 있다.
서문
제1장 한국어 교육 정책론 서설
Ⅰ. 한국어 교육 발전과 한국어 교육 정책
Ⅱ. 한국어 교육 정책의 연구 동향
Ⅲ. 한국어 교육 정책의 연구 방법
제2장 한국어 교육 현장의 이해
Ⅰ. 국내 한국어 교육의 발달 과정과 특징(태동~2005)
Ⅱ. 국외 한국어 교육의 발달 과정과 특징(태동~2005)
Ⅲ. 국제어로서의 한국어의 실제와 과제
Ⅳ. 한국어 교육 환경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과제(2008년의 논의)
Ⅴ. 국외 한국어 교육 발전의 사례: 동남아시아
제3장 한국 정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1: 정책
일반과 법·제도
Ⅰ. 한국어 교육 정책 환경
Ⅱ. 한국어 교육 정책의 역사적 흐름과
주요 내용
Ⅲ. 국어기본법과 한국어 교육
Ⅳ. 다문화 사회 관련 법령과 한국어 교육
Ⅴ. 한국어능력시험(TOPIK) 체제 개편의 주요 내용과 배경
제4장 한국 정부의 한국어 교육 정책2: 정책
사례
Ⅰ. 다문화 시대의 한국어 교육 정책
Ⅱ. 세종학당 추진의 의의와 과제
Ⅲ. 한류 기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지원 정책
Ⅳ. 중도입국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지원 정책
조항록(Cho, Hangrok, 趙恒錄)
정치학 박사(한국어교육정책)
명예인문학 박사
상명대학교 한국학과 교수
•주요 약력
국제한국어교육학회(IAKLE) 회장
한국어교육기관대표자협의회장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원자격심사위원장
문화체육관광부 세종학당재단 이사
교육부 정책자문위원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운영심의위원장
•주요 저서
한국어교육정책론(2010)
한국어 교육 현장의 주요 쟁점(2010)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2017)
외국인을 위한 한국 사회와 문화(2008)
한중베 대역 한국 사회와 문화의 이해(2018)
한국어교육론 1, 2, 3(2005, 편저) 외 공저서 다수